파이썬(Python) 25

파이썬 자료구조 (딕셔너리)

오늘은 파이썬 자료구조 중에 하나인 딕셔너리를 공부해보자. 딕셔너리는 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딕셔너리는 값(value)를 키(key)로 검색 할 수 있게 만들어진 자료구조 이다. 딕셔너리의 선언은 {} 중괄호를 사용해서 키와 값을 쌍으로 구성하면 된다. 바로 코드를 치면서 공부 해보자. student = {16012453 : 'kim', 16012454 : 'mea', 16012455 : 'tan'} 위의 코드처럼 딕셔너리는 {key : 'value'}로 선언한다. student = {16012453 : 'kim', 16012454 : 'mea', 16012455 : 'tan'} student[16012453] 결과 특정 값을 호출하려면 키값 을 이용해서 호출하면된다. 새로운 값들을 넣어주고싶다..

파이썬(Python) 2023.08.15

파이썬 자료구조(세트)

오늘은 파이썬의 자료구조 세트를 공부해 볼 것이다. 세트(set)는 값을 순서없이 저장하지만 중복은 허용하지 않는 자료형이다. 이 특징 때문에 프로그래밍에서 아주 유용하게 사용된다. 코드를 치면서 배워보자 s = set([1,2,3,1,2,3]) print(s) 결과 위의 코드처럼 중복되는 항목은 자동으로 삭제가 된다. 그리고 튜플과는 다르게 삭제나 변경이 가능하다. 1) add() 원소 하나를 추가한다. s.add(4) print(s) 결과 2) remove(), discard() 원소를 삭제한다. s.remove(4) s.discard(3) print(s) 결과 3)update() 새로운 리스트를 추가 한다. s.update([3,4,5,6,]) print(s) 결과 파이썬의 세트는 집합연산도 지원한..

파이썬(Python) 2023.08.14

파이썬 자료구조 (튜플)

오늘은 파이썬의 자료구조 튜플에 대해서 공부해 볼 것 이다. 튜플은 리스트와 같은 개념이지만 값을 변경하는것이 불가능한 리스트로 이해하면 된다. 튜플은 선언과 내용이 리스트와 약간 다르다. 코드를 치면서 공부해보자. t = (1,2,3,4,5) t[1] = 10 결과 튜플의 선언은 ()소괄호로 해주면 된다. 하지만 내용물을 바꿔주려고 하면 위의 코드 처럼 에러가 뜬다. 에러의 내용은 튜플 오브젝트에는 새로운 아이템의 추가를 허용하지 않는다라는 내용이다. 혹시 튜플에 값을 하나만 넣고 싶다면 p = (1,) 이런식으로 콤마를 붙여줘야 한다. 오늘은 파이썬 자료구조의 튜플에 대해서 공부해봤다. 다음시간에는 세트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파이썬(Python) 2023.08.13

파이썬 자료구조 (큐)

오늘은 파이썬의 자료구조 큐에 대해서 공부해 볼 것 이다. 큐는 스택과는 반대의 개념이다. 스택은 나중에 들어간 데이터가 먼저 나오지만 큐는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먼저 나온다. (선입선출) 코드를 치면서 배워보자. a =[1,2,3,4,5] a.append(10) a.append(20) print(a) a.pop(0) print(a) a.pop(0) print(a) 결과 위의 코드를 보면 a를 만들어주고 append를 이용하여 10 과 20을 넣어 주었다. 그리고 pop으로 인덱스 0번에 있는 숫자를 빼준 것이다. 이게 큐의 원리이다. 오늘은 간단하게 파이썬의 자료구조 큐를 공부해 보았다. 다음시간에는 튜플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파이썬(Python) 2023.08.12

파이썬 자료구조 (스택)

오늘은 파이썬의 자료구조 스택에 대해서 공부해 보자. 스택은 마지막에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먼저 나오는 형태로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구현하는 것이다. 위의 이미지 처럼 로 데이터를 넣고, 데이터를 빼낼수 있다. 코드를 치면서 공부해보자. 1. append() 함수 a = [1,2,3,4,5] a.append(10) print(a) 결과 위의 코드처럼 처음에는 10을 넣어 주지않았지만 나중에 append()라는 함수를 사용해서 10을 추가해 주었다. 2. pop() 함수 a = [1,2,3,4,5,10,20] a.pop() 결과 위의 코드처럼 맨마지막에 드러간 20이 빠져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print(a)를 해보면 20이 사라져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오늘은 이렇게 스택에 ..

파이썬(Python) 2023.08.11

파이썬 자료구조 종류

오늘은 파이썬의 자료구조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 볼 것 이다. 파이썬에는 크게 6가지의 자료구조가 있다. 바로 알아보자. 1. 리스트(list) 파이썬의 리스트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자료구조이다. 다양한 데이터 유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문자열,실수등등) [](대괄호)로 정의가 가능하다. 전에 배웠던 인덱싱,슬라이싱,for문등등 모두 리스트 자료형이다. 2. 스택(stack) 파이썬의 스택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며 후입선출 즉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를 제일 먼저 제거한다. 파이썬에서 스택을 구현하여면 보통 (리스트)를 사용한다. push()와 pop()을 통해서 데이터를 넣었다 뺐다를 할 수 있다. 3. 큐(queue) 파이썬의 큐 역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고 스택과는..

파이썬(Python) 2023.08.10

파이썬 문자열 서식 지정

오늘은 파이썬의 문자열 서식 지정에 대해서 공부할 것이다. 일단 문자열 서식지정에는 %와 format()이 있다 코드를 치면서 배워보도록 하자 1. % 서식 print('나는 핸드폰이 %d개 있어.'%1) print('나는 핸드폰이 %s개 있어'%'다섯') 결과 위의 코드처럼 정수는 %d, 문자는%s 가 들어간다. 물론 1이라는 정수를 숫자가 아닌 문자타입으로 넣고 싶다면 %s를 사용해주면된다. 위의 %외에도 더 많은 서식이 있다. 1) %s : 문자열(string) 2) %c : 문자 1개 (character) 3) %d : 정수(integer) 4) %f : 실수(float) 등 이 있다. 2. format() 함수 format함수는 %과 사용법이 거의 같지만 무자열 형태의 인수를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파이썬(Python) 2023.08.09

파이썬 문자열

오늘은 문자열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문자열은 데이터를 분석할때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는 자료형 중에 하나이다. 먼저 문자열은 시퀸스 자료형인데 리스트처럼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형식의 데이터이다. 다들 알고 있겠지만 컴퓨터가 숫자를 인식하는 최소 단위는 1비트이다. 1비트는 0과 1만 표현 할 수 있는 크기이다. 1바이트는 8비트와 크기가 같고 256까지의 숫자를 저장 할 수 있다. 이제 문자열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자 1. 인덱싱 문자열은 리스트 처럼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a = 'abcde' print(a[0],a[4]) print(a[-1],a[-5]) 결과 앞쪽은 0부터 뒷쪽은 -1으로 시작하게 된다. 2.슬라이싱 슬라이싱은 문자열의 주소값을 이용해 문자열의 부분값을 추출 해내는 ..

파이썬(Python) 2023.08.03

파이썬 코드 짜기

오늘은 문법에서 약간 벗어나서 좋은 코드를 짜는 약간의 규칙?약속?을 공부해보자. 코드는 컴퓨터가 이해하라고 짜는 것이지만 다른 사람들도 알아봐야 하지않겠냐라고 마틴 파울러 러나는 사람이 말했다. 그러니까 한마디로 '가독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파이썬 코딩 규칙 1. 들여 쓰기는 4 스페이스 들여쓰기는 다들 알 것이다. 예를 들면 for i in range(10): print(i) print('종료') 위의 코드 처럼 이 앞에 공간을 들여쓰기 라고 한다. 이부분을 띄어쓰기 4개로 약속을 한다는 의미이다. 2. 한 줄은 최대 79자 까지 이건 말 그대로 코딩 한줄에 79자를 넘지 말자는 약속이다. 3. 불필요한 공백은 없애기 예를들면 kim = 2 + 2 여기에서 본인이 알아보기 쉽게 띄어쓰기를 한칸씩 ..

파이썬(Python) 2023.08.02

파이썬 함수의 인수

오늘은 인수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인수의 종류는 4가지가있다. 1. 키워드 인수 함수의 인터페이스에서 지정한 변수명을 사용하여 함수의 인수를 지정하는 방법 2. 디폴트 인수 별도의 인수값이 입력되지 않을 때 인터페이스 선언에서 지정한 초깃값을 사용하는 방법 3. 가변 인수 함수의 인터페이스에서 지정한 변수 이외의 추가 변수를 함수에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4. 키워드 가변 인수 매개변수의 이름을 따로 지정하지 않고 입력하는 방법 이렇게 총 4가지가 있다. 직접 코드를 쳐보면서 공부해보자 1. 키워드인수 함수에 입력되는 매개변수의 변수명을 사용해서 함수의 인수를 저장하는 방법 def something(my_name, your_name): print('안녕{0}, 내 이름은 {1}야'.format(y..

파이썬(Python) 2023.08.01